화장품 유통기한 확인하는 방법

 

화장품 바르는 20대 여성

화장품도 ‘식품’처럼 유통기한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사용기한이 지난 화장품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, 심한 경우 트러블, 알레르기, 염증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뷰티에 관심이 많은 분일수록 다양한 제품을 소장하게 되는데,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제품이 상하기 쉽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**화장품 유통기한 확인법, 제품별 보관 팁, 유통기한 경과 시 대처 방법**까지 꼼꼼하게 안내해드립니다.

화장품 유통기한과 개봉 후 사용기한 차이

유통기한 (Manufacture / Expiration Date):
- 제조일로부터 판매 가능한 기간 - 보통 화장품 용기 하단, 박스 측면에 ‘제조일자(MFD)’ 또는 ‘사용기한(EXP)’로 표기

개봉 후 사용기한 (PAO: Period After Opening):
- 제품 개봉 후 사용 가능 기간 (기호로 표기되는 경우 多) - 예: "12M" → 개봉 후 12개월 이내 사용 권장

예시:
- 제조일: 2023.01.01 / 유통기한: 2026.01.01 - 개봉 후 사용기한: 6M (개봉일 기준 6개월 이내 사용)

화장품 유형별 사용기한 정리

개봉 전 기준 (상온 보관 시):
- 기초화장품 (토너, 에센스, 크림 등): 2~3년 - 메이크업 제품 (파운데이션, 립스틱 등): 2~3년 - 마스카라, 아이라이너: 1~2년 - 선크림: 3년

개봉 후 기준:
- 클렌저/토너: 6~12개월 - 에센스/세럼: 6~12개월 - 크림류: 6~12개월 - 립 제품: 12개월 - 마스카라/아이라이너: 3~6개월 - 쿠션/파운데이션: 6~12개월 - 선크림: 6~12개월

유통기한 확인 방법 3가지

1. 용기 표기 확인
- 제조일자: “MFD”, “제조”, “제조일자” 등으로 표기 - 사용기한: “EXP”, “까지”, “사용기한” 등

2. 기호 확인 (PAO 마크)
- ‘열린 뚜껑 + 숫자’ 기호 = 개봉 후 사용기한 - 6M, 12M, 24M 등

3.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/앱 조회
- 제품 바코드 또는 로트번호 입력으로 확인 가능 - 대표 사이트: 라네즈, 이니스프리, 설화수 등 - 네이버 검색창에 ‘[브랜드명] 유통기한 확인’ 입력

유통기한 지난 화장품, 이렇게 사용하면 안 돼요

✅ 향이 변하거나 기름이 분리된 제품은 즉시 폐기 ✅ 크림류, 에센스류에서 ‘물+기름 분리 현상’ 발생 시 사용 중지 ✅ 립 제품에서 이상한 맛/냄새가 나면 폐기 ✅ 마스카라는 3개월 이상이면 교체 권장 (세균 번식↑)

화장품 보관 팁으로 유통기한 연장하기

✔ 직사광선 피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 ✔ 욕실보다 건조하고 통풍 잘 되는 서랍 추천 ✔ 손으로 직접 덜어 쓰기보다 스패출러 사용 ✔ 에어리스 펌프형 제품은 산화 방지에 유리 ✔ 여행용 소형 용기에 나눠 쓰지 말고 원용기 그대로 사용 권장

유통기한 지난 제품의 대체 활용법

✔ 스킨/토너 → 화장솜 적셔 먼지 닦는 용도로 사용 ✔ 크림류 → 발 각질 보습용 / 손팩용 ✔ 립 제품 → 버리기 전 색상 테스트용 그림 도구로 활용 (단, 얼굴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!)

화장품도 소비 기한이 존재하는 소모품입니다. 내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인 만큼 유통기한을 체크하는 습관은 필수입니다. 오늘 소개한 확인 방법과 보관 팁을 참고해 위생적이고 건강한 뷰티 루틴을 유지해보세요!

댓글